현재 미국은 계란값이 금값 이유는 조류독감
미국 계란값 폭등, 조류독감의 그림자
미국에서는 최근 몇 달간 계란 가격이 급등하여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계란값 폭등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의 확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 계란값 폭등의 원인과 추세, 그리고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계란값 폭등, 얼마나 올랐나?
미국 노동부의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2025년 1월 계란 가격은 1년 전보다 무려 8.5% 상승했습니다.
특히 12개들이 계란 한 판 가격은 지역에 따라 5달러를 넘어서는 곳도 나타나면서 '금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계란값 폭등의 원인: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의 확산
이번 계란값 폭등의 가장 큰 원인은 2024년부터 미국 전역으로 확산된 HPAI입니다.
HPAI는 닭과 오리 등 가금류에 치명적인 질병으로, 감염된 가금류는 대부분 살처분됩니다.
HPAI 확산으로 인해 수많은 산란계가 살처분되면서 계란 생산량이 급감했고, 이는 계란 가격 폭등으로 이어졌습니다.
HPAI 외 다른 요인들
HPAI 외에도 사료 가격 상승, 유통 비용 증가, 계란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계란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사료 가격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사료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 사료 가격 상승은 계란 생산 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계란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 유통 비용 증가: 인플레이션과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유통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 이는 계란 가격 상승에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계란 수요 증가: 연말연시와 부활절 등 계란 소비가 많은 시기에 계란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을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 언제까지 오를까?
전문가들은 HPAI 확산세가 진정되고 사료 가격이 안정화되면 계란 가격이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HPAI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어 정확한 가격 하락 시점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2025년 상반기까지는 계란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비교: 예전 계란값 vs 현재 계란값
과거 미국에서는 12개들이 계란 한 판 가격이 1~2달러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5달러를 넘어서는 곳도 나타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 1월 미국의 평균 계란 가격은 1.5달러였습니다.
하지만 2025년 1월에는 3달러로 2배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계란값 폭등에 대처하는 방법
계란 가격 폭등에 대처하기 위해 소비자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계란 대체재 활용: 계란 대신 두부, 요구르트, 아마씨 등을 활용한 요리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직접 구매: 농장 직판이나 로컬 마켓에서 계란을 구매하면 중간 유통 마진을 줄여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 냉동 보관: 계란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냉동 보관하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합니다.
결론
미국 계란값 폭등 사태는 HPAI 확산, 사료 가격 상승, 유통 비용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특히, HPAI 확산은 계란 생산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계란 가격 폭등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아직까지 정확한 가격 하락 시점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전문가들은 HPAI 확산세가 진정되고 사료 가격이 안정화되면 계란 가격이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계란 가격 폭등에 대처하기 위해 소비자들은 계란 대체재를 활용하거나 직접 구매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캘리포니아에서는 계란 가격이 급등하여 12개들이 한 판 가격이 8.97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는 한 달 전보다 78센트 상승한 가격입니다.
- LA 한인 마켓에서는 12개들이 한 판 가격이 8.99달러에서 11.99달러에 판매되고 있으며, 20개들이 한 판은 13.99달러에서 22.99달러까지 판매되고 있습니다.
- 캘리포니아의 계란 가격 급등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 발병으로 인한 공급 감소, 연말 수요 증가, 캘리포니아 동물복지법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주의 수입 제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